미국 금 관련주 테마별 회사 정보 정리

미국 금 관련주

미국은 세계 최대 금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금 관련 기업들이 다양한 테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 상장 기업 중 금 관련주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리스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금 제조·생산 테마


1.1. Newmont Corporation(NYSE: NEM, 시가총액: 약 500억 달러)

뉴몬트는 세계 최대 금 생산 기업 중 하나로, 금 제련 및 생산에 주력합니다. 연간 약 600만 온스의 금을 생산하며, 북미와 호주 등에서 광산을 운영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187억 달러

- 영업이익: 약 46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90% 이상입니다. 금이 주력이며, 부산물(구리, 은 등)이 일부 기여합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국제 금 가격, 생산 비용 효율성, 글로벌 금 수요입니다. 금값 상승은 직접적인 수익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금값 하락, 광산 운영 비용 상승(에너지, 노동력),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추가 부담입니다.


✔️뉴몬트(NEM) 차트 보러가기


1.2. Barrick Gold Corporation(NYSE: GOLD, 시가총액: 약 320억 달러)

바릭골드는 북미와 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주요 금 생산 기업으로, 연간 약 450만 온스의 금을 제련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129억 달러

- 영업이익: 약 48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85%입니다. 금이 핵심이며, 구리 등 부산물이 나머지를 차지합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 가격 변동, 광산 운영 안정성, 환율(달러 강세)입니다. 금값 상승 시 수혜가 큽니다.

- 리스크: 지역 정치 불안(아프리카 광산), 금값 하락, 높은 자본 지출로 인한 재무 부담입니다.


✔️바릭골드(GOLD) 차트 보러가기


1.3. Kinross Gold Corporation(NYSE: KGC, 시가총액: 약 137억 달러)

킨로스 골드는 중형 금 생산 기업으로, 미국, 러시아, 남미에서 연간 약 200만 온스의 금을 생산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51억 달러

- 영업이익: 약 15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95%입니다. 금이 거의 전부를 차지합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 가격, 생산량 증가 여부, 운영 효율성입니다. 금값 상승이 주된 성장 동력입니다.

- 리스크: 러시아 제재로 인한 운영 중단 가능성, 금값 변동성, 소규모 기업 특성상 재무 안정성 우려입니다.


✔️킨로스 골드(KGC) 차트 보러가기


금 제조·생산 테마의 기업들은 금 생산 기업들은 금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수익 증가가 있으며, 운영 비용과 환경 규제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2. 금 채굴 관련 테마


2.1. AngloGold Ashanti Limited(NYSE: AU, 시가총액: 약 159억 달러)

앵글로골드 아샨티는 남아프리카 기반 금 채굴 기업으로,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광산에서 연간 약 300만 온스의 금을 채굴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58억 달러

- 영업이익: 약 16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90% 이상입니다. 금 채굴이 주력 사업입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 가격, 채굴 비용, 남아프리카 정치 안정성입니다. 금값 상승이 핵심 동력입니다.

- 리스크: 금값 하락, 노동 파업 및 지역 불안, 높은 운영 비용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입니다.


✔️앵글로골드(AU) 차트 보러가기


2.2. Hecla Mining Company(NYSE: HL, 시가총액: 약 34.3억 달러)

헤클라 마이닝은 미국 내 금·은 채굴 기업으로, 연간 약 20만 온스의 금을 생산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9.3억 달러

- 영업이익: 약 1.1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40~50%입니다. 은과 금이 주요 매출원입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은 가격, 채굴 생산량, 미국 광산 정책입니다. 금값 상승 시 수혜가 큽니다.

- 리스크: 금값 변동성, 은 가격 하락, 소규모 기업 특성상 재무 취약성이 있습니다.


✔️헤클라 마이닝(HL) 차트 보러가기


2.3. Coeur Mining, Inc.(NYSE: CDE, 시가총액: 약 35.6억 달러)

쾨르 마이닝은 북미 중심 금·은 채굴 기업으로, 연간 약 10만 온스의 금을 채굴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10.5억 달러

- 영업이익: 약 1.6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50%입니다. 금과 은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합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 가격, 채굴 효율성, 북미 금 수요입니다. 금값 상승이 긍정적 요인입니다.

- 리스크: 금값 하락, 높은 채굴 비용, 환경 규제로 인한 운영 중단 가능성입니다.


✔️쾨르 마이닝(CDE) 차트 보러가기


금 채굴 관련 테마의 기업들은 금 채굴 기업들은 금 가격과 정치적 안정성에 영향을 받으며, 금값 상승이 주요 성장 동력입니다.



3. 종합 상사 기업


3.1. Freeport-McMoRan Inc.(NYSE: FCX, 시가총액: 약 531억 달러)

프리포트 맥모란은 구리와 금을 주력으로 하는 종합 자원 기업으로, 금을 부산물로 유통하며 인도네시아 Grasberg 광산에서 활동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255억 달러

- 영업이익: 약 68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15~20%입니다. 구리가 주력이나 금이 중요한 부수 수익원입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금 및 구리 가격, 글로벌 건설·전자 수요, 달러 가치입니다. 금값 상승은 추가 수익을 창출합니다.

- 리스크: 구리 가격 하락, 인도네시아 정부 규제, 금 비중이 낮아 직접적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프리포트 맥모란(FCX) 차트 보러가기


3.2. BHP Group ADR(NYSE: BHP, 시가총액: 약 1,272억 달러)

BHP 그룹은 세계 최대 광업 종합 상사로, 철광석, 구리와 함께 금을 부산물로 생산 및 유통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556억 달러

- 영업이익: 약 175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5% 미만입니다. 금은 부수적이며 철광석과 구리가 주력입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글로벌 원자재 수요, 금·구리 가격, 중국 경제 성장률입니다. 금값 상승은 간접적 수혜로 작용합니다.

- 리스크: 금 비중이 미미하고 철광석 의존도가 높아 금값 영향이 제한적이며, 글로벌 경기 침체로 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BHP그룹(BHP) 차트 보러가기


3.3. Vale ADR(NYSE: VALE, 시가총액: 약 423억 달러)

발레는 브라질 기반 종합 상사로, 철광석 중심이나 금을 부산물로 생산하며 북미 시장에 유통합니다.


- 2024년 매출액: 약 2,060억 달러

- 영업이익: 약 554억 달러

- 금 관련 사업 기여도: 매출의 약 3~5%입니다. 철광석이 주력이며 금은 소규모 기여를 합니다.


·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

철광석 및 금 가격, 브라질 경제 상황, 환율 변동입니다. 금값 상승은 보조적 역할을 합니다.

- 리스크: 금 비중이 낮아 영향이 미미하고, 브라질 정치·환경 리스크, 철광석 시장 변동성이 있습니다.


✔️발레(VALE) 차트 보러가기


종합 상사 기업은 종합 자원 기업들은 금을 부산물로 생산하며, 금 가격 상승이 간접적인 수익을 창출하지만 비중이 낮아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4. 금 관련 ETF 정보


4.1. SPDR Gold Shares(NYSEARCA: GLD)

GLD(SPDR Gold Shares)는 세계 최초로 상장된 금 ETF로, 금 현물 가격을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tate Street Global Advisors가 운용하며, 실물 금으로 뒷받침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주로 런던과 뉴욕의 금고에 보관된 LBMA Good Delivery 규격의 금괴로 자산이 구성됩니다.


- 운용보수: 연간 0.40%로, 금 ETF 중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합니다.

- 장점: 유동성이 매우 높아 거래가 용이하며, 세계 최대 금 ETF로서 시장 신뢰도가 높습니다. 금값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투자자들이 금 가격을 간접적으로 추적하기에 적합합니다.

- 단점: 운용보수가 경쟁 ETF 대비 높아 장기 투자 시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GLD ETF 차트 보러가기


4.2. iShares Gold Trust(NYSEARCA: IAU)

IAU(iShares Gold Trust)는 BlackRock이 운용하는 금 ETF로, 금 현물 가격을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PDR Gold Shares와 유사하게 실물 금으로 뒷받침되며, 뉴욕, 토론토, 런던 등지의 금고에 보관된 금괴로 자산이 구성됩니다.


- 운용보수: 연간 0.25%로, GLD보다 낮아 비용 효율적인 선택지로 주목받습니다.

- 장점: 낮은 운용보수로 장기 투자 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으며, 금 가격 추적 성과가 우수합니다. 소규모 투자자도 쉽게 매매할 수 있는 구조가 특징입니다.

- 단점: GLD에 비해 거래량과 유동성이 다소 낮아 대량 거래 시 스프레드(매수-매도 호가 차이)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IAU ETF 차트 보러가기


4.3. GraniteShares Gold Trust(NYSEARCA: BAR)

BAR(GraniteShares Gold Trust)는 비교적 소규모 금 ETF로, 금 현물 가격을 추종하며 낮은 비용으로 금 투자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런던에 위치한 금고에 LBMA Good Delivery 규격의 금괴로 자산이 뒷받침됩니다.


- 운용보수: 연간 0.17%로, 주요 금 ETF 중 가장 낮은 수준에 속합니다.

- 장점: 매우 낮은 운용보수로 장기 투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투명한 금 보관 구조를 자랑합니다. 금 실물에 대한 직접적인 노출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단점: GLD나 IAU에 비해 거래량이 작아 유동성이 낮습니다. 이로 인해 대량 매매 시 거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BAR ETF 차트 보러가기


미국 금 ETF는 다양한 종목과 전략을 제공하며, 특히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를 통해 금 가격 변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3배 레버리지 ETF관련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금 ETF종목 정보 상세정리


이 글에서 소개드린 금 관련 ETF들은 금 현물/선물(1배수) 가격을 추종하며, 운용보수와 유동성 차이에 따라 투자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여러 ETF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5. 최선의 재테크가 되려면


금에 투자할 수 있는 상품으로는 금 ETF, 금 현물, 금 펀드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독특한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자신의 목표와 처한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옵션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상품들을 면밀히 비교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으로 재테크를 할 때는 투자 목적에 맞춰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금 통장은 소액 투자와 편리함을 제공하고, 금 펀드와 ETF는 유동성을, 금 관련 주식은 높은 수익을, KRX 금현물계좌는 세금 혜택을 장점으로 내세웁니다.


금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수수료와 세금 부담을 꼼꼼히 검토해 자신에게 적합한 방식을 찾는 것이 현명합니다. 관련해서 금 재테크 방법과 특징, 세금 정보를 따로 정리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금 재테크 방법과 특징, 세금 정보 정리


지금까지 미국 금 관련주와 여러 금 관련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봤습니다. 미국 금 관련주는 금 제조·생산(Newmont), 종합 상사(Freeport-McMoRan), 금 채굴(AngloGold), 금 거래 플랫폼(SPDR Gold Shares)이 각 테마에서 두각을 나타냅니다.


금 가격 상승은 모든 테마에 긍정적이지만, 제조·생산과 채굴 기업은 운영 비용과 지역 리스크, 종합 상사는 금 비중이 낮은 점, 거래 플랫폼은 투자자 심리가 주요 변수로 작용합니다.


반면, 금값 하락, 글로벌 경기 침체, 규제 강화가 공통적이며, 테마별로 생산비, 정치적 불안, 유동성 등이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금 관련주에 투자하는 분들은 금 시장 동향과 각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략을 세우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