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가격 전망, 천연가스 오르는 이유와 내리는 이유 정리

천연가스 가격 전망

천연가스(Natural Gas)는 난방, 전력 생산, 산업용 연료, 수소 생산 등에 사용되는 주요 에너지 자원으로, 글로벌 에너지 믹스에서 약 24%를 차지합니다(IEA, 2024).


천연가스는 계절적 수요 변동, 공급망 안정성, 기후 조건, 지정학적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크며, 유가(WTI, 브렌트유)와도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이 글에서는 천연가스 가격의 상승 및 하락 요인을 분석하고, 2025년 시세 전망과 주요 변수, 투자 접근법을 다룹니다.


목차



1. 천연가스 가격 오르는 이유


1.1. 날씨와 계절적 수요

극단적인 기후는 천연가스 수요를 급증시켜 가격을 상승시킵니다. 2024년 북미 지역은 1월과 12월에 북극 한파(Arctic Blast)로 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5~10°C 낮아졌고, 난방 수요가 하루 1,200억 입방피트(Bcf/d)를 돌파하며 전년 대비 10% 증가했습니다(EIA).


이로 인해 헨리 허브 가격은 MMBtu당 3.5달러에서 5.0달러로 약 43% 상승했습니다. 2025년 북반구 겨울(13월)이 라니냐 영향으로 평년보다 추울 경우(기상청 전망, 60% 확률), 난방 수요가 하루 1,250억 입방피트까지 늘며 가격이 MMBtu당 5.5달러를 상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여름철 폭염도 발전용 수요를 증가시킵니다. 2024년 7~8월 미국 남부 지역 폭염(평균 35°C 이상)으로 에어컨 사용이 급증하며, 천연가스 발전량이 전체의 45%를 차지해 수요가 5% 증가했습니다(EIA).


2025년 여름이 엘니뇨로 더 더워질 경우(확률 40%), 발전 수요가 추가로 가격을 지지할 전망입니다. 또한, "북미 한파와 아시아 폭염이 2025년 천연가스를 6달러로 밀어올릴 것"이라는 낙관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2. 공급 제약과 LNG 수출

공급망 불안정과 LNG(액화천연가스) 수출 증가는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입니다. 러시아-유럽 가스관(노드스트림 1, 2)의 공급이 2022년 이후 80% 감소하며 유럽은 LNG 의존도를 40%까지 높였습니다(IEA).


2024년 미국 LNG 수출은 9,2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5% 증가했으며, 유럽(독일, 네덜란드)과 아시아(한국, 일본)가 주요 수입국으로 부상했습니다(EIA). 한국은 2024년 LNG 수입량이 4,700만 톤으로 전체 천연가스 소비의 95%를 차지하며, 국제 가격 변동에 민감합니다.


2025년에도 공급 제약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EU 제재(2024년 12차 연장)로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이 하루 50억 입방피트 이하로 줄고, 카타르의 신규 LNG 터미널(북부 필드 확장, 연간 800만 톤)이 2025년 하반기 가동되더라도 초기 물량은 제한적입니다.


또한, 미국의 LNG 수출 터미널(골든 패스, 플라크마인스)이 2025년 상반기 완공되며 수출이 1,000만 톤 늘지만, 글로벌 수요(1억 1,000만 톤 예상)를 충족하기에는 부족합니다. "LNG 수출 경쟁과 러시아 공급 차질이 천연가스 강세를 유지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2. 천연가스 가격 내리는 이유


2.1. 공급 과잉과 셰일가스 생산

미국 셰일가스 생산의 증가는 공급 과잉을 초래하며 가격을 하락시킵니다. 2024년 미국 천연가스 생산량은 하루 1,055억 입방피트로 전년 대비 5.2% 증가했고(EIA), 이는 셰일층(퍼미안, 헤인스빌) 추출 기술 개선(평균 비용 $1.8~2.0/MMBtu) 덕분입니다.


저장고 재고는 2024년 11월 기준 3,600억 입방피트로 5년 평균(3,400억)을 상회하며 수요를 초과했습니다. 2025년 셰일 생산이 하루 1,070억 입방피트로 늘고, 저장고가 3,800억 입방피트에 달하면 가격이 MMBtu당 4달러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캐나다(BC주 LNG 캐나다 터미널)와 호주(고르곤 확장)의 신규 공급(합산 500만 톤)이 2025년 시장에 유입되며 공급 압력을 가중시킬 전망입니다. 또한, "셰일 혁명과 재고 증가가 천연가스를 3달러대로 끌어내릴 것"이라는 비관론이 제기됩니다.


2.2. 온화한 기후와 재생에너지

온화한 기후는 수요를 줄여 가격을 낮춥니다. 2023년 북미 지역 온난 겨울(평균 기온 2°C 상승)로 난방 수요가 하루 1,000억 입방피트 이하로 감소하며, 헨리 허브 가격이 MMBtu당 3.0달러에서 2.5달러로 17% 하락했습니다(EIA).


2025년 겨울이 엘니뇨로 평년보다 따뜻다면(확률 30%), 유사한 하락(10~15%)이 예상됩니다. 재생에너지의 성장도 천연가스 의존도를 낮춥니다. 2024년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은 글로벌 전력의 27%를 차지하며(IEA), 미국에서 천연가스 발전 비중을 40%로 줄였습니다.


유럽의 그린딜(2030년 재생에너지 42.5% 목표)과 한국의 탄소중립 2050 정책(재생에너지 30% 목표)이 가속화되며, 2025년 천연가스 수요가 연간 50억 입방피트 감소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가 천연가스의 장기 하락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타납니다.



3. 향후 천연가스 시세 전망


3.1. 단기 전망 (2025년 상반기)

2025년 상반기 천연가스 가격은 헨리 허브 기준 MMBtu당 5.0~6.0달러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씨티그룹은 겨울철 난방 수요(1,230억 입방피트 예상)와 LNG 수출 증가(1,050만 톤 추가)를 근거로 5.5달러를, HSBC는 유럽 공급난(재고율 65% 이하)과 러시아 제재를 들어 6.0달러를 예측합니다.


다만, 변수가 존재합니다. 미국의 따뜻한 봄철 기온(45월 평균 15°C 이상)이나 OPEC+의 원유 증산(하루 50만 배럴 가능성)이 유가와 천연가스를 동반 하락시킬 수 있으며, 투기적 매수 증가(2024년 거래량 15% 상승)는 단기 급등 후 조정(510% 하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2. 장기 전망 (2025~2030년)

장기 전망은 낙관과 비관이 엇갈립니다. 골드만삭스는 아시아 수요 증가(2030년 1억 2,000만 톤 예상)와 LNG 공급 부족으로 MMBtu당 7.0~7.5달러를 전망합니다. 블룸버그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천연가스 발전 수요(2030년 100억 입방피트 증가)를 추가하며 8.0달러까지 낙관합니다.


반면, 모건스탠리는 재생에너지 확대(2030년 40%)와 셰일 공급(1,100억 입방피트 예상)으로 4.0달러 이하, JP모건은 3.8달러 하락을 점칩니다.


추가 변수로, 미국 LNG 수출 규제 완화(2025년 하반기 예상)와 기후 정책(탄소세 $50/톤 상향)이 시장을 흔들 수 있습니다. 현재 "LNG와 AI가 천연가스의 황금기를 열 것"이라는 낙관론과 "재생에너지가 5달러 벽을 넘기지 못하게 한다"는 비관론이 공존합니다.



4. 생각할 수 있는 변수


4.1. 기후 패턴과 공급망

엘니뇨/라니냐와 같은 기후 패턴은 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2024년 라니냐로 북미 추위가 심화되며 가격이 10% 상승했으며, 2025년 기후 이상이 지속되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러시아 가스관 복구나 LNG 운송 차질(선박 부족)도 공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2. 정책 변화와 시장 심리

탄소중립 정책(유럽 그린딜, 한국 2050 목표)이 천연가스 수요를 줄일 수 있습니다. 2024년 유럽 탄소세 강화로 가스 소비가 3% 감소했으며, 2025년에도 유사한 흐름이 예상됩니다. 시장 심리도 변수로, 천연가스 선물(NYMEX) 거래량 증가(2024년 15% 상승)는 상승 신호, 투기적 매도는 하락(2023년 12% 급락)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천연가스 투자에 관심이 있다면


5.1. 다양한 천연가스 투자 상품 소개

천연가스 투자 상품은 여러 형태로 제공되며, 특징과 장단점이 뚜렷합니다. 실물 천연가스(저장소 계약)는 개인 투자에 비현실적이지만, 유사 상품으로 가스 요금 선결제(1m³ 약 1,300원)가 가능합니다.


천연가스 ETF(UNG)는 유동성과 저비용(수수료 1.1%)이 장점이나 실물 소유는 불가합니다. 천연가스 선물(CME, NYMEX)은 고수익 가능성이 있지만 변동성 리스크가 크고, 관련 주식(쉐브론)은 기업 성과에 의존합니다.


5.2. 비교 후 선택의 중요성

투자 목적에 따라 적합한 상품이 다릅니다. ETF는 단기 매매와 유동성에, 선물은 고위험 수익 추구에, 주식은 장기 성장성에 적합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천연가스값 상승(3월 8% 증가) 시 ETF로 단기 수익을, 주식으로 기업 가치를 노릴 수 있습니다.


비용(수수료), 리스크, 환금성을 비교해 본인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맞는 선택을 하세요. 시세는 CME(www.cmegroup.com)나 EIA(www.eia.gov)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천연가스 가격은 날씨와 공급 제약으로 상승하고 있지만, 공급 과잉과 재생에너지는 하락 요인입니다. 기후와 정책 변화가 주요 변수로, 천연가스 투자 상품은 특징이 뚜렷하니 비교 후 선택하세요. 이 글이 천연가스 가격 전망을 이해하고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