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24K, 18K, 14K 차이, 금 종류별 시세 비교

금 24K 18K 14K

금은 투자와 장신구로 오랜 시간 사랑받아 온 귀금속으로, 순도에 따라 24K, 18K, 14K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들 순도는 금 함량과 물리적 특성,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투자자와 소비자에게 각기 다른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24K, 18K, 14K 금의 차이를 살펴보고, 시세를 반영해 순수 금 가치와 제품 가격을 비교하며, 어떤 상황에서 어떤 금을 선택해야 하는지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합니다.

*금 시세는 삼성금거래소 가격 정보를 참고했습니다.(25.3.15.기준)


목차



1. 금 순도와 기본 개념


1.1. K(캐럿)란 무엇인가

금의 순도는 캐럿(Karat, K)으로 표시되며, 24K는 순금(99.99% 금)을 의미합니다. 캐럿은 전체 합금에서 금이 차지하는 비율을 24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18K는 금 75%(18/24), 14K는 금 58.3%(14/24)입니다.


나머지 비율은 은, 구리 같은 금속으로 채워져 색상과 강도를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24K는 순도 99.99%로 가장 순수하지만 부드럽고, 18K와 14K는 내구성이 강해 장신구에 적합합니다.


1.2. 순도별 물리적 특성

24K는 진한 노란빛을 띠며 연약해 긁히거나 변형되기 쉽습니다. 18K는 25% 합금(구리, 은 등)이 섞여 단단하고, 색상은 옅은 황금빛부터 로즈골드, 화이트골드까지 다양합니다.


14K는 금 함량이 낮아 강도가 높고, 더 밝거나 붉은 톤을 띠며 일상 착용에 적합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사용 목적과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24K, 18K, 14K 금의 특징


2.1. 24K 금 (순금)

24K 금은 순도 99.99%로, 주로 금괴(골드바)나 투자용 주화로 사용됩니다. 삼성금거래소 기준 2025년 3월 15일 3.75g(한돈) 시세는 606,100원(부가세 별도)이며, 이는 순수 금 가치를 반영한 가격입니다.


부드러운 특성 탓에 장신구로는 드물고, 투자나 자산 보존에 적합합니다. 국제 금 시세(약 3,000달러/온스)와 연동되며, 부가가치세(10%, 약 60,610원)가 추가되면 약 666,710원에 거래됩니다.


2.2. 18K 금

18K 금은 금 75%, 나머지 25%가 합금으로 구성됩니다. 내구성이 좋아 반지, 목걸이 등 장신구로 활용되며, 삼성금거래소 시세는 3.75g당 500,000원(부가세 별도)입니다.


색상은 합금 조합에 따라 화이트골드(니켈 추가)나 로즈골드(구리 추가)로 변형 가능합니다. 부가가치세(50,000원) 포함 시 약 550,000원이며, 실용성과 미적 가치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2.3. 14K 금

14K 금은 금 58.3%, 합금 41.7%로 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납니다. 일상용 장신구에 적합하며, 삼성금거래소 기준 3.75g당 390,000원(부가세 별도)입니다.


색상은 18K보다 밝거나 붉은 톤이 강하며, 부가가치세(39,000원) 포함 시 약 429,000원 수준입니다. 금 함량이 낮아 가격이 저렴하지만, 투자 가치보다는 실용성이 두드러집니다.



3. 24K, 18K, 14K 시세 비교


3.1. 시세 구성과 순수 금 가치

2025년 3월 15일 삼성금거래소 기준, 3.75g 단위 시세와 순수 금 가치를 비교한 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금 순도별 가격 비교

24K 제품 가격은 순수 금 가치(606,100원)와 동일하며, 부가세만 추가됩니다. 18K는 금 함량 75%로 순수 가치가 454,575원, 14K는 58.3%로 353,494원입니다. 기타 비용(가공비, 수수료)은 18K(45,425원), 14K(36,506원)에 포함되며, 장신구 제작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3.2. 시세 변동과 투자 효율성

24K는 국제 금값(3,000달러/온스) 변동에 직접 연동되며, 금값이 10% 상승 시 3.75g당 약 60,610원 증가합니다.


18K는 순수 금 가치 상승분(약 45,457원)에 가공비가 고정되어 약 9% 증가, 14K는 약 35,349원(9% 미만) 상승에 그칩니다. 투자 효율성은 24K가 가장 높고, 18K와 14K는 장신구로서의 실용성과 디자인이 가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4. 금 선택 시 고려사항


4.1. 목적에 따른 선택

투자 목적이라면 24K가 적합합니다. 삼성금거래소에서 1kg 골드바(약 1억 6,150만 원, 부가세 제외)를 구매하면 자산 보존과 환금성이 뛰어납니다. 장신구로는 18K(3.75g, 550,000원)가 내구성과 디자인을兼비하며, 결혼반지나 목걸이에 적합합니다. 14K(429,000원)는 저렴한 가격으로 학생이나 캐주얼 용도로 추천됩니다. 예산과 사용 빈도를 고려해 선택하세요.


4.2. 비용과 유지 관리

24K는 부가가치세(10%)와 보관비(은행 금고 연 10만~50만 원)가 추가되며, 연약해 긁힘 주의가 필요합니다. 18K와 14K는 가공비(3.75g당 약 35만 원)가 포함되고, 합금으로 변색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14K는 구리 함량이 높아 땀이나 물에 노출 시 변색될 수 있어 정기 세척(초음파 세척기 사용)이나 도금(약 2~3만 원)이 요구됩니다.



5. 금 시세 확인과 활용 팁


5.1. 시세 확인처

24K 시세는 삼성금거래소(606,100원/3.75g, 부가세 별도)나 Goldprice.org(3,000달러/온스)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합니다. 18K와 14K는 금은방(평균 500,000원, 390,000원)이나 백화점에서 무게당 가격을 문의하며, 삼성금거래소 기준으로 정확한 비교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다양한 거래소에서 금 시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금거래소나 한국조폐공사와 같이 직접 쇼핑몰을 운영하는 회사에서는 믿을 만한 제품도 구매할 수 있으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금 시세 보는곳과 보는법 정리


금 한돈 한냥 무게, 가격 차이


5.2. 투자와 구매 전략

투자라면 24K를 금값 하락 시 매수(예: 600,000원 이하), 상승 시 매도하며, 삼성금거래소 차트로 2025년 상승세(3월 7% 증가)를 분석하세요. 장신구는 18K나 14K를 디자인과 내구성으로 선택하고, 중고 거래 시 감가(24K 5%, 18K 20%, 14K 30%)를 고려해야 합니다. 목적에 맞는 전략을 세우세요.


지금까지 금 종류에 따른 특성과 시세를 비교해 봤습니다. 24K, 18K, 14K 금은 순도(99.99%, 75%, 58.3%)와 특성에서 차이가 나며, 2025년 3월 15일 삼성금거래소 시세는 606,100원, 500,000원, 390,000원(부가세 별도)입니다.


24K는 투자와 자산 보존(순수 가치 100%), 18K는 실용적 장신구(75%), 14K는 저렴한 일상용(58.3%)에 적합합니다. 비교표를 통해 순수 금 가치와 제품 가격을 파악하고, 삼성금거래소 등에서 시세를 확인하면 목적에 맞는 선택이 가능합니다. 이 글이 금 순도 차이를 이해하고 현명한 투자 및 구매에 기여하기를 바랍니다.



✔️ 함께보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