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보기 어플, 만보기 앱테크 추천 5가지

만보기 앱테크


평소에 걸음이 많으신 분들을 위해 만보기 앱테크로 사용중인 어플 5가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목차



1. 캐시워크


캐시워크

캐시워크는 잠금화면 만보기 어플 중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100걸음당 1캐시가 적립되고 하루 최대 100캐시까지 적립이 가능한데요. 팀워크 챌린지, 모두의 챌린지, 캐시톡과 같은 컨텐츠로 캐시를 추가로 모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캐시톡은 최대 100명의 친구와 행운캐시를 주고받으면서 하루 500~700캐시까지 적립이 가능한데요. 캐시워크의 모든 컨텐츠를 활용하면 월 2만 캐시 이상 모을 수도 있어 만보기 앱테크 1순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캐시워크 자세히 알아보기


2. 발로소득


발로소득

발로소득은 1만보 기준으로 30캐시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만보기로 봤을때는 적은 수치가 아닌가 생각되지만, 주 1회 갱신되는 일상 챌린지를 통해 챌린지당 300~600캐시를 추가 적립할 수 있습니다. 일상 챌린지는 걷기, 양치 인증하기, 날씨보기 등 간단한 일상 생활을 인증하면 되는 간단한 미션입니다.


또한, 친구를 초대할 때마다 행운 봉투를 오픈해 추가 캐시를 받을 수 있고, 매일 버튼 누르기와 같은 추가 컨텐츠로 캐시를 모을 수 있는데요. 모든 컨텐츠를 참여했을때 한 달에 15,000캐시 이상 모을 수 있었습니다.


발로소득 자세히 알아보기


3. 야핏무브


야핏무브

야핏무브는 걷기 뿐만 아니라 자전거 라이딩으로도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한 어플입니다. 만보기는 100걸음에 1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고, 하루 최대 100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한데요. 자전거 라이딩은 1km당 10마일리지 적립이 추가로 가능합니다.


걷기와 라이딩만으로도 월 6,000마일리지를 쌓을 수 있고, 친구를 추가하면 친구가 움직일때마다 추가 마일리지 적립, 응원 마일리지 주고받기도 가능해 월 2만 마일리지 이상 쌓을 수 있었습니다.


야핏은 패드가 부착된 실내자전거로 앱에 접속해 10만 명의 야핏크루와 라이딩하는 경험을 할 수 있는데요. 이미 실내자전거를 보유하고 계신 분들은 센서 부착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여러 사람과 함께 목표를 달성한다는 점에서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야핏무브 자세히 알아보기


4. 모니모


모니모

모니모는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카드, 삼성증권의 서비스를 묶은 종합 금융 어플인데요. 하루 5천보를 달성했을때 젤리라는 것을 받을 수 있고, 젤리 1개당 10~20원 정도의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만보기만 봤을때는 가장 적립이 적어보이지만, 매일매일 기상미션, 하루한번 출석체크를 통해 추가 젤리를 모을 수 있고, 미션을 연속달성하면 스페셜젤리 1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스페셜 젤리의 가치는 1개당 1,500~2,000원 정도)


만보기, 기상미션, 출석체크 세 가지만 꾸준히 참여해도 월 90개의 일반젤리, 2개의 스페셜 젤리를 받게 되는데요. 삼성금융 서비스에 가입한 숫자만큼 젤리보상이 강력해지기 때문에 월 5,000원 이상은 받을 수 있습니다.


모니모 앱테크 자세히 알아보기


5. 토스


토스

토스는 은행, 증권 등 종합 금융 어플이지만, 만보기 외에 여러 포인트 적립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하루 1만보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5번 보상을 받을 수 있고, 하루 30~50원 정도를 받을 수 있는데요.


만보기 외에도 [친구와 함께 토스 켜고], 이번주 미션 등을 통해 추가로 포인트를 받을 수 있지만, [만보기]와 [친구와 함께 토스 켜고] 두 가지 컨텐츠만으로도 하루 300포인트 정도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


토스 앱테크 자세히 알아보기


6. 추가로 설치하기 좋은 앱


마지막으로 소개드리는 앱은 추가 컨텐츠 참여 없이 걸음수만 채워서 포인트를 챙기는 어플입니다. 머니워크는 하루 5천보, NH헬스케어는 하루 7천보, 가치워크는 하루 1만보 걸으면 각각 100포인트를 받을 수 있으며, 여러 만보기 어플을 한번에 돌리는 분들이 간단히 챙기기에 좋은 어플입니다.


  머니워크 자세히 알아보기  


NH헬스케어 자세히 알아보기


  가치워크 자세히 알아보기  


댓글